庶政惟和(서정유화) : 모든 정사가 화합하며
萬國咸寧(만국함녕) : 모든 나라들이 다 안녕하다.
출처(書經,周書周官篇)
節而不散 親戚畔之 樂施者 樹德之本也 베풀기를 즐겨하는것은 덕을 심는 기본이다.
貧交窮族 量力以周之 我廩
有餘 方可施人 竊(훔칠절)公貨 以賙(도와줄주)私人非禮也.
베풀기를 즐겨하는 것은 덕을 심는 근본이다.
가난한 친구나 곤궁한 친척은 힘을 헤아려서 구제하여야 한다
내 집에 남은 것이 있다면 남들에게 베풀어도 좋으나
나라의 재화를 훔쳐서 사사로이 사람을 구제하는 것은 예가 아니다.
출처:목민심서 律己六篇
守口如甁, 防意如城(수구여병) 입을 지키기는 병마개 닫듯 하고,
防意如城(방의여성)뜻을 지키기는 성(城)과 같이하라.
출처:명심보감 존심편
安土誰知是太平(안토수지시태평) : 이 땅이 누가 태평성대인 줄 알까
白頭多病滯邊城(백두다병체변성) : 병 많은 늙은 몸으로 변방에서 살아간다.
胸中大計終歸繆(흉중대계종귀무) : 가슴 속 큰 뜻 끝내 얽히고
天下男兒不復生(천하남아불부생) : 천하의 남아 다시 살지 못 한다
花欲開時方有色(화욕개시방유색) : 꽃이 필 때는 곧 색깔이 나타나고
水成潭處却無聲(수성담처각무성) : 물이 못을 이루는 곳에는 도리어 소리가 없다
千山雨過琴書潤(천산우과금서윤) : 온 산에 비 지나가니 책과 거문고 생각나고
依舊晴空月獨明(의구청공월독명) : 맑은 하늘에 늘 떠 있는 달은 밝기만 하다.
출처: 宋翼弼(송익필),寄牛溪(기우계)-
君子務本이니 本立道生하나니. 孝弟也者는, 其爲仁之本與!인저
군자는 근본을 세우고자 애쓴다.
근본이 서면 나갈 길이 생긴다.
효제는 바로 인을 이룩하는 근본이니라.
출처:論語 學而篇